파이썬 for in 작동 원리 이해하기
2019. 5. 26. 16:18ㆍ파이썬
728x90
for문의 기본적인 구조는 for 변수 in 리스트(또는 튜플, 문자열) : 이다.
오른쪽 리스트에 있는 첫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변수에 대입한다는 뜻이다.
예를 들어 my_list = [1, 2, 3, 4, 5, 6] 이라는 리스트가 있다고 치자.
이 리스트의 각 요소들을 my_number 라는 변수에 차례대로 대입하여
그 값을 출력해보고 싶다면,
for my_number in my_list :
print(my_number) 를 코딩한다.
결과값은
1
2
3
4
5
6 이 된다.
리스트 속 리스트의 요소들을 출력할 때는 for in 문 안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이 이루어진다.
파이썬에서는 상기의 코딩을
a = [[1,2],[3,4],[5,6]]
for [i,j] in a :
print(i)
print(j) 로도 표현할 수 있다.
728x90
반응형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크롤링 Beautiful Soup (0) | 2019.07.29 |
---|---|
파이썬 for문 별찍기의 원리 이해하기 (1) | 2019.05.26 |
파이썬 리스트 내용 삭제하기 (0) | 2019.05.25 |
파이썬 리스트 내용 수정하기 (0) | 2019.05.25 |
파이썬 리스트 속 리스트의 값 꺼내오기 (0) | 2019.05.25 |